장례식장을 가거나 결혼식장을 가게될때 내는 부조금과 축의금을 얼마를 내야할지 고민하시는분들이 많은데요.
물론 장례시장같은경우는 돈보다는 삼가위로를 하는것이 먼저이지만 대부분 가기전에 고민을 많이하십니다.
각 지인에 따라서 평균적으로 봉투에넣는 액수가 달라지기때문에 오늘은 장례식 부조금 액수에대해서 포스팅을 하게되었습니다.
장례식 부조금 액수 얼마나
이제 성인이되면서 학생일때는 몰랐지만 직접 장례식장을 찾아가는일들이 많아졌는데요.
하지만 도통 가본적도없고 부조금을 얼마를 내야할지도 모르기때문에 많이들 고민하시는것 같습니다.
친한 지인, 회사동료 등등 관계가 많기때문에 그에따른 액수에대해서 평균적으로 한번 알려드리겠습니다.
장례식 부조금 액수 적당한 선
위에 언급한것과 같이 숫자가 가지고있는 의미란것은 보통 많은분들이 행운의숫자로 3과 7을 알고계시고
나쁜숫자로는 4라고 기본생활지식으로 알고계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4만원을 넣는 경우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홀수"금액을 넣으면 된다고 생각하시며 됩니다.
하지만 10만원 20만원 같은경우는 3만원+7만원이기때문에 홀수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액수가 나뉘는것은 상을 치르는분과 나와의 관계에 따라서 액수가 변하게되는데요.
친하지않은 직장동료와 친구들일경우 5만원
친한 직장동료일 경우 10만원
회사쪽과 연관된 업체의 경우 3만원
친한 친구의 부모님상 경우 10만원
이런식으로 평균치가 정해져있습니다.
혹시라도 해깔려하시는분들을위해서 위에보시는 친하지않는 직작동료같은경우는 그도 해당되며 그의 주위사람들도 해당되게 됩니다.
모든사람들을 다쓰게되면 지저분해지고 보기도힘들기때문에 한번에 정리하였습니다.
장례식 부조금 액수 애매한 경우
하지만 분명히 애매한 경우가 나오기 마련인데요.
옛날에는 친했지만 몇년간 연락을 안했던 친구 , 전에있던 회사 동료의 부모님상 , 이전에 사귀었던 이성친구의 부모님상 등등 과거 친했었던 사람들에게는 대게 10만원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또다른 예로는
과거 자신의 선생님이나 은사분들 또는 스승으로 모셨던 분들 같은경우는 찾아뵌지 오래됬다면 3만원 꾸준히 연락을 하고 지냈다면 10만원이 적당하다고 합니다.
이렇게 각기 다른 상황때문에 모든것에대해서 알수는없지만 상황상황에 따라서 잘 생각해보시면 얼추 맞는 금액을 선정할수있으실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렇게 장례식 부조금 액수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린토피아 이불 할인이 적용된다는 사실 (0) | 2017.09.29 |
---|---|
현대 m2카드 혜택 알아보고 결정합시다 (0) | 2017.09.28 |
휴대폰 분실신고 하는방법 매우간단합니다 (0) | 2017.09.26 |
신한s20 체크카드 교통카드등 최고 (0) | 2017.09.25 |
취사가능 공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 | 2017.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