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생산자동화 기능사에대해서 알아봅시다.

생산자동화 기능사란 직업을 들어보신적 있으신가요?

요즘처럼 사람이 직접하는것이아닌 대량생산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대부분 기계가 처리하는것이 일반적인데요.

하지만 이러한 기계들도 사람들이 조작을 해주고 관리를 해줘야 제대로 일처리가되기 때문에 그것을 컨트롤해줄수있는 사람이 필요하고 이에 전문적으로 기술을 다루는사람을 "생산자동화 기능사"라고 합니다.

또한 기계장치를 설계하고 보수해서 업무에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역할까지하기때문에 장래가 기대되는 직업중에 하나로 손꼽히고있습니다.

생산자동화 기능사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엄밀히 따지자면 자동화된 기계를 "다룰줄"아는 사람을 말하는 것입니다.

메카트로닉스 기술의 발달과함께 생산자동화또한 비약적으로 발달하고있기때문에 그에대한 직업군인 생산자동화 기능사또한 엄청나게 각광받고있는것이 사실입니다.

물류개선,인건비절감,품질향상까지 엄청난 기업적이득을 챙겨오기때문에 기업의 입장에는 여러 노동자들을 채용하는것보다 "생산을 자동화"시켜서 엄청난 효율을 얻으려는것이 현실이기때문입니다.


물론 이렇게 촉망받고있는 직업이기때문에 쉽게 되리란 보장은 없습니다.

생산자동화 기능사 두번째.

지난 2012년도부터 2016년도까지 합격률을 보시면 총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뉘는것을 알수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필기시험이 40%정도의 합격률을 실기가 85%정도의 합격률을 보이는데요.

이는 1차적으로 필기시험만 붙으면 대부분은 합격한다는 것이지만 거의 반도안되는 합격률을 자랑하는걸로 보아 쉽지않다는것을 알수있습니다.

응시자또한 매년 200~300명가량 늘어나는 추세이기때문에 앞으로의 경쟁력또한 상승할것 같습니다.

응시에앞서 시험에 대해서 알아보면 필기시험후 합격자발표후에 실기원서접수가 가능한것을 볼수있습니다.

필기같은경우는 합격률이 많이 떨어지는것에 비해 합격 예정자 발표가 그날 당일인것이 좀 인상적이네요.

필기시험 : 총 100점 만점중 60점

실기시험 : 총 100점 만점중 60점

그리높지않은 커트라인이지만 문제가 상당히 어려운것 같습니다.


물론 자격증검색을 토탈로만 해도 많은 정보를 얻을수있고 시험정보를 얻을수있기때문에 미리 대비는 할수있지만 바야흐로 "자격증 열풍"이 불고있기때문에 지금 머뭇거리지마시고 조사하시고 공부를 하시는게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생산자동화 기능사 세번째.

필기 : 기계가공법과안전관리,기계제도,메카트로닉스 일반 

실기 : 메카트로닉스 장치 운용 작업

이런식으로 시험이 이루어지며 필기의 경우 객관식 문제지만 그래도 만만하게 보시면 안됩니다.


이렇게 생산자동화 기능사 자격증에대해서 얇게나마 알아봤는데요.

더자세한 정보를 얻으신다면 한국산업인력공단에 직접 접속하셔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